유니코드(2)
-
문자를 숫자로 바꾸는 형 변환
자바에서는 바이트로 이루어진 수를 아스키 코드 처럼 문자로 변환 한다. System.out.println("추가 내용"); char ch = 'A';// char ch = '\u0041' 도 가능하다 유니코드 int code = (char)ch;// ch에 저장된 값을 int형으로 변환 하여 저장 --> ASCII System.out.println(ch); System.out.println("대문자 A의 경우 아스키 코드로 1000001 다시말해 65이다"); System.out.println(code); // 문자가 아닌 숫자값으로 변환 System.out.printf("\n"); 예시처럼 문자 'A'를 숫자로 형 변환 후 그 값을 프린트를 하면 100001이 나오고 숫자로 바꾸면 65로 나타난다. 이..
2021.02.26 -
Java 상수 변수
코드를 보기 전에 상수와 변수의 차이를 설명하자면, 아래 그림에 설명되어 있는 것 처럼 상수는 후에 데이터 상에서 변경이 가능 하지만, 변수는 처음 선언한 것 이후로 변경이 불가능하다. 변수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보통 상수를 선언하는 것과 유사하지만 앞에 final이라는 단어가 들어가야한다. 변수의 장점 협업을 하는 프로그램 제작의 특정상, 중요한 것들을 변수로 설정해 다른 사람이 실수로 고치지 않게 한다. 후에 본인이 다시 프로그램을 보더라도 왜 변수로 설정했는지에 대해 이해가 가능하다.
2021.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