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선스(2)
-
오픈 소스의 소스코드 공개 방식
소스코드 공개 범위 소스코드 해당부분 공개 고지 -> Permissive 소스코드가 수정된 부분 공개 -> Weakcopy Left 링크된 모든 사용자 코드 공개 -> Copy Left GPL 공개 범위 코드와 연결된 모든 소스코드 별도 독립된 저작물의 경우 예외사항으로 공개하지 않아도됨 사용자 메인 프로그램(pipe, http...) 함수를 호츨하거나 라이브러리로써의 활용 또흔 파일을 복제하는 경우는 해당이 된다. 다양한 환경을 만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버전이 있다.(GCC,GPL, GPL3.0classpath...) --> 다양한 유입경로를 통해 사용된 오픈소스 코드 --> 중앙에서 통제되지 않으면 원치 않게 공개되거나, 코드의 특허권리가 무상으로 변환 --> 경제적 손해, 시간적 손해... 오픈소스의..
2023.12.21 -
오픈소스 라이선스 (open source license)
1. 라이선스 소프트웨어의 사용을 장려하도록 하는 것. 제품, 코드 제작자의 이익, 이해 관계를 최대가 되는 합의 결과. 제작자의 철학, 조건을 존중한다. 2. 오픈소스의 사용의의 오픈 소스를 사용함으로써 코드 제작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으며 버전 관리에 용의하다. 비슷한 사업, 제작을 할 경우, 먼저 코드를 공개하여 회사의 강인함을 알리고 이미지 상승이 용의하다. 공개를 함으로써 기술의 원천지를 증명이 가능하다. 코드가 지저분하게 제작되어 있더라도 많을 사람들이 수정을 거치며 더 깔끔한 코드로 완성된다. 보안 취약점이 노출 될수 있지만, 더 많은 사람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게될 회사에서 코드를 수정하며 개선한다. 3. 오픈 소스 라이선스 정의 :소프트웨어 또는 제작물의 저작권이 존재하지만, 공개하여 소..
2023.11.30